• 게시글
  • 작성일
  • 조회수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는 현상을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합니다.

짧게는 10, 길게는 1분 이상 호흡이 멈출 수 있는데, 일시적인 호흡의 정지는 산소 부족과 함께 깊은 수면의 방해를 초래합니다

특히 하루동안 이러한 현상이 30회 이상 발생한다면 치료가 필요한 중증도 이상의 수면 무호흡증으로 판단합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증상

수면 무호흡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숨이 멎을 것만 같은 큰 코골이이며, 무호흡,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아는 야뇨, 성인은 야간 빈뇨, 식도 역류, 과다 발한, 심한 잠꼬대, 몽유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주간 졸림증이 심각해지면서 피로감과 함께 이산화탄소 축적으로 인한 심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소아는 학습 부진이나 발달 지연, 입으로 숨을 쉬게 되어 말처럼 얼굴이 길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지면서 공격적 성격, 자극 과민성, 불안감, 우울 반응 등의 성격 변화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게시글
  • 작성일
  • 조회

 

 

왜 수면 무호흡증이 위험한가요?

수면 무호흡증은 단순히 수면의 질이 나빠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반복적인 호흡 중단으로 인해 혈중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심뇌혈관계 합병증입니다

증상이 조절되지 않고 장기간 무호흡이 지속될 경우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심근경색, 뇌경색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또한 주간 졸음증으로 인한 교통사고나 작업 중 사고 위험도 매우 높아집니다.

 

 

수면 무호흡증의 위험 요인

수면 무호흡증 환자는 대부분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은 해부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만으로 인해 목 주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질 경우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목둘레가 남성 43cm, 여성 38cm 이상인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 인두 주변 근육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수면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이외에도 중년 남성, 폐경 후 여성, 가족력이 있는 경우나 흡연자, 잦은 음주자의 경우에도 수면 무호흡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 게시글
  • 작성일
  • 조회